가와사키 닌자 ZX-7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와사키 닌자 ZX-7R은 1989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된 가와사키의 750cc 스포츠 바이크이다. 여러 모델 변화를 거치며, 램 에어 시스템, 121마력 엔진, 조절식 서스펜션 등을 특징으로 했다. 레이싱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AMA 슈퍼바이크 챔피언십 12회 우승,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도입된 모터사이클 - 가와사키 닌자 ZX-6R
가와사키 닌자 ZX-6R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1995년부터 생산된 600cc급 스포츠 바이크로, ZX-11 기술과 ZX-9R 디자인을 계승하여 출시된 후 배기량 증가, 디자인 변경, 전자 장비 추가 등의 발전을 거듭하며 경쟁 모델들과 경쟁하고 있다. - 가와사키의 모터사이클 차종 - 가와사키 닌자 ZX-9R
가와사키 닌자 ZX-9R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스포츠 바이크로, 혼다 CBR900RR에 대응하여 900cc 엔진을 탑재했으며, 모델별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쳐 2004년 ZX-10R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지만 현재까지도 엔진 기술이 계승되고 있다. - 가와사키의 모터사이클 차종 - 가와사키 닌자
가와사키 닌자는 일본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생산하는 스포츠 모터사이클 시리즈이며, 4기통, 2기통, 단기통 엔진을 탑재한 다양한 모델을 포함하고 레이싱 기술을 적용하여 고성능을 추구한다. - 스포츠 바이크 - 가와사키 닌자 ZX-9R
가와사키 닌자 ZX-9R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스포츠 바이크로, 혼다 CBR900RR에 대응하여 900cc 엔진을 탑재했으며, 모델별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쳐 2004년 ZX-10R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지만 현재까지도 엔진 기술이 계승되고 있다. - 스포츠 바이크 - 스즈키 GSX-R750
스즈키 GSX-R750은 1985년 출시된 750cc 스포츠 바이크로, 경량 프레임과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슈퍼 스포츠 레플리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며 모터사이클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가와사키 닌자 ZX-7R | |
---|---|
개요 | |
![]() | |
별칭 | 1989년~1995년 ZXR-750 / ZXR-750R 1989년~1995년 (미국) ZX-7 / ZX-7R 1996년~2003년 ZX-7R / ZX-7RR |
제조사 | 가와사키 모터사이클 & 엔진 회사 |
모회사 | 가와사키 중공업 |
생산 기간 | 1989년~2003년 |
차종 | 스포츠 바이크 |
선행 차량 | GPX750R |
관련 차량 | 가와사키 ZXR250 가와사키 ZXR400 가와사키 닌자 ZX-6R 가와사키 닌자 ZX-9R 가와사키 닌자 ZX-12R |
엔진 및 성능 | |
엔진 | 4행정 기관, 액체 냉각, 16 밸브 DOHC, 직렬 4기통 엔진 |
압축비 | 10.8:1-11.5:1 |
최고 출력 | (후륜) @ 11,500 rpm |
최대 토크 | (후륜) @ 9,000 rpm |
변속기 및 구동 | |
변속기 | 6단 수동 |
차대 및 서스펜션 | |
프레임 | 알루미늄 트윈-스파 |
서스펜션 (전륜) | 조절 가능한 도립식 카트리지 포크 |
서스펜션 (후륜) | Uni-Trak (모노쇽) 스윙암 |
레이크/트레일 | 25.0°, |
브레이크 | |
브레이크 (전륜) | 트윈 세미 플로팅 프론트 디스크와 토키코 캘리퍼스 |
브레이크 (후륜) | 디스크와 트윈 피스톤 대향 캘리퍼스 |
무게 |
2. 역사
가와사키 닌자 ZX-7R 시리즈는 1989년 ZX-7 (H1) 모델로 처음 등장하여 2003년까지 생산된 가와사키의 대표적인 750cc급 스포츠 바이크이다. 이 시리즈는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과 같은 레이스 규정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특히 호몰로게이션 모델인 ZX-7R 및 ZX-7RR은 트랙 주행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초기 모델인 ZX-7 (H1, H2)는 1989년과 1990년에 출시되었으며, 다루기 쉬운 핸들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과 단단한 리어 서스펜션이 지적되기도 했다. 1991년에는 ZX-7 (J1, J2) 모델이 등장하며 짧은 스트로크 엔진과 도립식 포크 등 큰 변화를 맞이했고, 경량화도 이루어졌다. 같은 해, 첫 호몰로게이션 버전인 ZX-7R (K1, K2)이 출시되어 고성능 기화기, 근접 기어비 변속기, 알루미늄 연료 탱크 등을 갖추었다.
1993년부터 생산된 ZX-7 (L1, L2, L3) 모델은 램 에어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고속 주행 시 흡기 효율을 높였고, 엔진과 서스펜션 개선을 통해 이전 모델의 단점을 보완했다. 이 시기 호몰로게이션 모델인 ZX-7R (M1, M2) 역시 램 에어 시스템을 적용받았으며, 스윙암 피벗 조절 기능이 추가되어 핸들링 특성 조정이 가능해졌다.
1996년에는 미국 시장 명칭 변경과 함께 대대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ZX-7R (P1-P7) 모델이 출시되었다. 새로운 엔진 설계, 듀얼 램 에어 흡입구, 6피스톤 브레이크 캘리퍼 등이 적용되었으며, 이 P 모델 라인업은 2003년까지 생산되며 ZX-7R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같은 해, 트랙 성능을 더욱 강화한 호몰로게이션 모델 ZX-7RR (N1)이 한정적으로 출시되어 더 큰 기화기, 강화된 클러치, 세밀한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 등을 갖추었다.
2. 1. ZX-7 (H1, H2) (1989-1990)

1989년에 처음 출시된 ZX-7(H1)은 오토바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일부는 무게를 지적했는데, 이는 같은 해의 스즈키 GSX-R750보다 30파운드(14kg), 혼다 RC30보다 70파운드(32kg) 더 무거웠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다루기 쉬운 핸들링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리어 서스펜션이 눈에 띄게 단단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H1 모델의 엔진은 10,500rpm에서 최고 출력 107마력을 발휘했다. 엔진 제원은 보어 68mm, 스트로크 51.5mm, 압축비 10.8:1이다. 캠축이 버킷 태핏(bucket tappet)을 통해 밸브를 직접 구동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연료 공급은 4개의 36mm 케이힌(Keihin) CVKD 정속 기화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공기는 앞 카울에서 시작되어 연료 탱크를 통과하는 두 개의 관을 통해 에어 박스로 공급되었다. 오일은 라디에이터 아래에 장착된 별도의 공랭식 오일 쿨러를 통해 냉각되었다.
프레임은 알루미늄 주변형(perimeter) 방식을 채택했다. 서스펜션은 앞쪽에 조절 가능한 43mm 오토바이 포크를, 뒤쪽에는 유니트랙(Uni-Trak) 링크 방식을 사용하여 스윙암에 연결된 모노쇼크를 장착했다. 앞 브레이크는 듀얼 310mm 로터에 4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했으며, 뒷 브레이크는 230mm 로터와 2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했다. 휠베이스는 1410mm였고, 건조 중량은 약 205.02kg으로 측정되었다.
1990년식 모델인 ZX-7(H2)는 전년도 모델의 "레이스 키트"에 포함되었던 여러 부품들을 기본 사양으로 채택했다. 기존의 박스 형태였던 스윙암은 단일 주조/용접 부품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은 더 커진 38mm 기화기, 더 짧아진 피스톤, 더 길어진 커넥팅 로드, 그리고 11.3:1로 높아진 압축비 등 개선이 이루어졌다. 오일 필터는 기존의 외부 스핀온(spin-on) 방식에서 내부 카트리지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배기 시스템,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또한 개선되었다.[8] 휠베이스는 1455mm로 늘어났으며, 건조 중량은 약 200.03kg (200kg)으로 약간 감소했다.[9]
2. 2. ZX-7 (J1, J2) (1991-1992)

1991년형 ZX-7(J1 모델)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보어 71mm, 스트로크 47.3mm의 새로운 짧은 스트로크 엔진이 도입되었다. 이 신형 엔진은 H2 모델의 11.3:1 압축비와 38mm 케힌(Kehin) 기화기를 유지했다. 밸브는 이전 모델의 직접 구동 방식 대신 로커 암 스타일 캠 팔로워를 통해 작동하도록 변경되었다. 오일 쿨러는 오일-냉각수 방식의 열 교환기로 교체되었다. 엔진은 이제 섀시의 응력 부재(stressed member)로 활용된다. 이 모델들은 유럽 전역의 잠재적인 출력 제한 규정에 대한 우려 때문에 가와사키(Kawasaki)에 의해 의도적으로 100마력(hp)으로 출력이 제한되었다.[10]
알루미늄 주변부 섀시는 경량화되었고, 새로운 43mm 도립식 포크와 더 커진 320mm 프론트 브레이크가 장착되었다. 휠베이스는 1420mm로 다시 단축되었다. 이 새로운 모델은 이전 연식 모델보다 약 약 13.61kg 가벼워졌다.[11]
J2 모델(1992년형)은 리어 서스펜션의 스프링 레이트를 낮추어 덜 뻣뻣하게 조정되었다.
2. 3. ZX-7R (K1, K2) (1991-1992)

1991년에 등장한 ZX-7R은 ZX-7의 슈퍼바이크 호몰로게이션 버전으로 처음 출시된 모델이다. 트랙에서의 성능과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부분이 변경되었다. 엔진에는 제한 없이 작동하는 39mm 케이힌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가 장착되었고, 더 공격적인 캠축, 11.5:1로 높아진 압축비, 그리고 근접 기어비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이 엔진은 크랭크축에서 121마력의 출력을 낸다. 기존 ZX-7의 강철 연료 탱크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교체되었다. 앞뒤 서스펜션은 모두 세부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ZX-7R은 1인승 시트와 동승자용 발판이 없다는 점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10]
2. 4. ZX-7 (L1, L2, L3) (1993-1995)

1993년형 ZX-7은 전면 페어링의 헤드라이트 옆에 엔진 공기 흡입구를 배치한 램 에어 시스템을 처음으로 적용한 모델이다. 이 램 에어 흡입구는 오토바이 전면에서 프레임을 지나 엔진 에어 박스 하단까지 이어지는데, 주행 속도를 이용해 전면 공기의 정압이 엔진 흡입구에 양압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엔진 주변보다 오토바이 전면의 공기 온도가 더 낮다는 장점도 있다.
엔진은 이전 연식의 ZX-7R 것을 기반으로 하지만,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와 근접 기어비 변속기는 제외되었다. 엔진 제원은 보어 71mm, 스트로크 41.7mm, 압축비 11.5:1이며[12], 4개의 Keihin 38mm CVKD 기화기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이 엔진은 크랭크축 기준으로 118마력의 출력과 54.3lb-ft의 토크를 발휘한다.[13]
섀시 부분에서는 직경이 작아진 41mm 도립식 프론트 포크를 채택하고, 리어 유니트랙 린키지를 개선하여 보다 선형적인 움직임을 보이도록 했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이전 모델에서 지적되었던 핸들링 문제, 특히 리어 서스펜션 강성 관련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 휠베이스는 1430mm로 늘어났으며, 건조 중량은 205kg(약 205.02kg)이다.
2. 5. ZX-7R (M1, M2) (1993-1994)
1993년에 출시된 ZX-7R (M1, M2 모델)은 램 에어 시스템을 추가하는 등, 당시 ZX-7 (L 모델)과 동일한 주요 업데이트를 받았다. 엔진은 이전 K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여, 39mm 케이힌(Keihin) FVKD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와 근접비 6단 변속기를 장착하여 크랭크축에서 121마력을 발휘했다.하지만 ZX-7 (L 모델)에 적용되었던 개선된 리어 쇼크와 링크는 M 모델에 적용되지 않았고, 대신 이전 K 모델의 더 단단한 설정을 그대로 유지했다. 프론트 포크는 13단계의 리바운드 조절과 8단계의 압축 조절 기능을 추가하여 더욱 세밀한 설정이 가능해졌다. 특히 이 모델부터는 스윙암 피벗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도입되어, 라이더가 모터사이클의 핸들링 특성을 자신의 주행 스타일에 맞게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14]
이전 ZX-7R 모델과 마찬가지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연료 탱크를 사용했으며, 동승자를 태울 필요가 없는 1인승 구조로 설계되어 서브프레임의 크기를 줄여 추가적인 경량화를 이루었다. 건조 중량은 200kg으로 측정되었다.
2. 6. ZX-7R (P1-P7) (1996-2003)

1996년, 가와사키는 750cc 스포츠 바이크의 미국 시장 명명 규칙을 변경했다. 기존 ZX-7 모델은 ZX-7R로, ZX-7R 모델은 ZX-7RR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모델은 대규모 업데이트를 거쳤는데, 완전히 새로운 엔진과 듀얼 램 에어 흡입구를 장착했다. 엔진은 보어 73mm, 스트로크 44.7mm 규격을 가졌다. 이전 모델의 로커 암 방식 캠 팔로워 대신 직접 구동 버킷 방식을 채택하여 밸브 트레인의 관성을 줄이고 더 높은 엔진 회전수(RPM)를 가능하게 했다. 스로틀 풀리는 엔진 오른쪽에서 중앙으로 이동하여 스로틀 버터플라이의 유격을 줄여 공회전 RPM 안정화를 시도했다. 실린더 헤드의 밸브 각도는 이전 20도에서 25도로 더 넓어졌다. 실린더 보어가 커지면서 폐쇄형 데크 실린더 구조로 변경되었고, 실린더 헤드의 오일 순환 및 냉각 성능도 개선되었다. 배기 헤더는 기존 4-1 방식에서 4-2-1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5] 이 엔진은 크랭크축 기준 123마력(hp)의 출력을 냈다.
섀시는 강성을 높인 프레임으로 업데이트되었고, 포크는 더 커진 43mm 규격에 리바운드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 리어 쇼크 업소버 역시 압축 20단계, 리바운드 4단계 조절이 가능해져 조절성이 향상되었다. 제동력은 새로운 6피스톤 토키코 전면 캘리퍼를 장착하여 개선되었다.[15] 전체 건조 중량은 203kg이었다.
2. 7. ZX-7RR (N1) (1996)
1996년형 ZX-7RR은 트랙 주행에 초점을 맞춘 개선 사항이 적용되었다. 주요 변경점으로는 더 커진 케힌 FVKD 41mm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와 더 강력한 종이 기반 클러치 라이닝이 포함되었다. 또한, 퀵 체인지 캠축 스프로킷, 근접 기어비 변속기, 그리고 코너링 시 뒷바퀴 스핀을 방지하기 위한 더 무거운 플라이휠이 장착되었다.[15]섀시는 엔진 후방 근처에 거싯(gusset) 처리를 통해 강화되었다. 서스펜션은 추가적인 조정 기능이 더해졌는데, 앞 포크는 28단계 압축 및 13단계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했고, 뒷 쇼크는 20단계 압축 및 18단계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했다.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기본 모델에 장착되었던 6피스톤 토키코 캘리퍼가 6피스톤 닛신 유닛으로 교체되었다. 무게 절감을 위해 더 작은 8AH 배터리가 장착되기도 했다.[15]
ZX-7RR 모델은 1996년 한 해 동안만 판매되었다.[10]
3. 기술적 특징
가와사키 닌자 ZX-7R은 749cc 수랭식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프레임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를 활용한 경량 알루미늄 트윈 스파 방식이며, 리어 서브프레임은 탠덤 시트 동승자를 고려하여 강철로 제작되었다.
스윙암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고, 리어 서스펜션에는 Uni-Trak 시스템이 적용되어 압축 시 점진적으로 강한 감쇠비와 스프링 률을 제공한다. 프론트에는 완전 조절이 가능한 43mm 도립식 포크가 장착되었으며, 리어 서스펜션 역시 예압, 압축 및 리바운드 댐핑 조절이 가능하다.
프론트 브레이크는 320mm 세미 플로팅 디스크와 토키코(Tokico) 6피스톤 캘리퍼를, 리어 브레이크는 230mm 디스크와 2피스톤 캘리퍼를 장착했다.
고성능 버전인 ZX-7RR 모델은 일반 ZX-7R 모델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조절 가능한 헤드스톡 각도와 스윙암 피벗을 제공하며, 서스펜션의 조절 범위가 더 넓다. 또한, 클로즈 기어비 변속기, 더 무거운 크랭크축 플라이휠, 그리고 닛신(Nissin) 프론트 브레이크 캘리퍼가 기본으로 장착되었다.[19][24][25]
사이클 월드 매거진의 테스트 결과, 1/4 마일 (약 400m) 드래그 기록은 10.82초였으며, 이때 통과 속도는 129.68 mph (약 208.7km/h)였다.[20]
3. 1. 엔진
ZX-7R은 수랭식 749cc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으며, 더블 오버헤드 캠샤프트(DOHC) 방식과 실린더당 4개의 밸브를 채택했다. 엔진 케이스, 실린더, 실린더 헤드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동력은 다판 습식 클러치를 통해 6단 변속기로 전달된다.초기 모델인 1989년형 H1은 10,500rpm에서 107마력의 크랭크축 출력을 냈다. 엔진은 보어 68mm, 스트로크 51.5mm, 압축비 10.8:1의 제원을 가졌다. 밸브는 버킷 스타일 태핏을 통해 캠축에 의해 직접 구동되었으며, 연료 공급은 4개의 36mm 케힌(Keihin) CVKD 정속 기화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오일은 라디에이터 아래에 장착된 별도의 오일-공기 열 교환기를 통해 냉각되었다.
1990년형 H2 모델은 더 큰 38mm 기화기, 더 짧은 피스톤, 더 긴 커넥팅 로드, 11.3:1로 증가된 압축비 등 엔진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 오일 필터 방식도 외부 스핀온 방식에서 내부 종이 카트리지 스타일로 변경되었다.[8]
1991년형 J 모델은 보어 71mm, 스트로크 47.3mm의 새로운 짧은 스트로크 엔진이 도입되었다. 이 엔진은 H2 모델의 11.3:1 압축비와 38mm 케힌 기화기를 유지했지만, 밸브 구동 방식이 이전의 직접 구동 방식 대신 로커 암 스타일 캠 팔로워를 통해 작동하도록 변경되었다. 오일 쿨러는 오일-냉각수 방식의 열 교환기로 바뀌었다. 이 모델은 유럽의 잠재적인 출력 제한 규제를 고려하여 가와사키에 의해 의도적으로 100마력으로 출력이 제한되었다.[10]
같은 해 출시된 슈퍼바이크 호몰로게이션 버전인 1991년형 ZX-7R(K 모델)은 트랙 성능 향상을 위해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다. 엔진에는 39mm 케이힌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가 장착되었고, 더욱 공격적인 캠축, 11.5:1로 높아진 압축비, 그리고 근접 기어비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크랭크축에서 121마력의 출력을 냈다.[10]
1993년형 ZX-7(L 모델)은 처음으로 램 에어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오토바이 전면의 공기 정압을 이용하여 엔진 흡입구에 양압을 제공하고, 더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흡기 효율을 높이도록 설계되었다. 엔진은 이전 연도의 ZX-7R 엔진을 기반으로 했지만, 38mm Keihin CVKD 기화기를 사용했으며 근접 기어비 변속기는 제외되었다. 압축비는 11.5:1이었고[12], 크랭크축에서 118마력과 54.3lb-ft의 토크를 생성했다.[13]
1993년형 ZX-7R(M 모델) 역시 램 에어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엔진은 39mm 케힌 FVKD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와 근접비 6단 변속기를 유지하여 크랭크축에서 121마력을 냈다.[14]
1996년, 모델명이 변경되어 기존 ZX-7은 ZX-7R(P 모델)로, ZX-7R은 ZX-7RR(N 모델)로 불리게 되었다. 이 해에는 대대적인 엔진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완전히 새로운 엔진은 보어 73mm, 스트로크 44.7mm를 가졌으며, 듀얼 램 에어 흡입구가 적용되었다. 밸브 트레인은 관성을 줄이고 더 높은 엔진 회전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시 직접 구동 버킷 스타일로 변경되었다. 실린더 헤드의 밸브 각도는 이전 20도에서 25도로 더 넓어졌고, 더 커진 실린더 보어에 맞춰 폐쇄형 데크 실린더 구조가 채택되었다. 배기 헤더는 이전의 4-1 방식에서 4-2-1 스타일로 업데이트되었다.[15] 이 신형 엔진은 123마력의 크랭크축 출력을 냈다.
1996년형 ZX-7RR(N 모델)은 트랙 주행에 초점을 맞춘 개선이 이루어졌다. 더 큰 41mm 케힌 FVKD 플랫 슬라이드 기화기, 더 강력한 종이 기반 클러치 라이닝, 퀵 체인지 캠축 스프로킷, 근접 기어비 변속기, 그리고 코너링 시 뒷바퀴 스핀을 방지하기 위한 더 무거운 플라이휠이 적용되었다.[15] ZX-7RR 모델은 1996년에만 판매되었다.[10]
3. 2. 프레임 및 서스펜션
ZX-7R의 프레임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를 통해 강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추구한 알루미늄 트윈 스파 방식이다. 여러 개의 프레스 가공 및 주조된 알루미늄 부품들을 용접하여 제작되었다. 리어 서브프레임은 탠덤 시트에 동승자가 탑승하는 것을 고려하여 강철 사각 튜브를 용접하여 만들어 충분한 강도를 확보했다.스윙암은 프레임과 유사한 제작 기술(중공 주조 및 압축 성형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리어 서스펜션에는 가와사키 고유의 Uni-Trak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주로 경량 합금과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서스펜션이 압축될 때 점진적으로 더 강한 감쇠비와 스프링 률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리어 서스펜션 유닛은 예압, 압축 및 리바운드 댐핑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다. 1996년 모델부터는 리어 쇼크의 조절성이 더욱 향상되어 20단계 압축 조절과 4단계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해졌다.[15]
프론트 서스펜션은 1991년 모델부터 도립식 포크가 적용되었으며, 이후 모델에서는 완전 조절이 가능한 43mm 구경의 포크가 장착되었다. 이 포크는 압축 및 리바운드 댐핑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초기 ZX-7R 모델 기준 8방향 압축 및 12방향 리바운드 조절 가능[19][24][25]). 1996년 ZX-7R 모델은 프론트 포크에 리바운드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15]
트랙 주행 성능을 극대화한 ZX-7RR 모델은 일반 ZX-7R 모델과 차별화되는 프레임 및 서스펜션 조절 기능을 갖추었다. 조절 가능한 헤드스톡 각도와 스윙암 피벗을 제공하여 라이더가 핸들링 특성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19][24][25][14] 또한, 서스펜션의 조절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1996년형 ZX-7RR의 경우, 프론트 포크는 28단계 압축 및 13단계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했고, 리어 쇼크는 20단계 압축 및 18단계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했다.[15] 이 모델은 엔진 후방 프레임에 거싯(gusset) 보강 처리를 통해 강성을 더욱 높이기도 했다.[15]
3. 3. 브레이크
프론트 브레이크는 320mm 세미 플로팅 디스크와 토키코(Tokico) 6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했다.[15] 리어 브레이크는 230mm 디스크와 2피스톤 대향 캘리퍼를 장착했다. 고성능 버전인 ZX-7RR 모델은 프론트 브레이크에 기본 모델의 토키코 캘리퍼 대신 닛신(Nissin)의 6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했다.[19][24][25][15]4. 레이싱
ZX-7 시리즈는 공장팀과 개인 팀 모두에 의해 다양한 레이스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ZX-7RR 모델은 레이스 참가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모델은 AMA 슈퍼바이크 챔피언십에서 총 12번의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16] 당시 가와사키 로드 레이싱 팀에는 에릭 보스트롬, 더그 챈들러, 스콧 러셀과 같은 유명 선수들이 소속되어 활약했다.
ZX-7 시리즈는 AMA 슈퍼바이크 챔피언십 외에도 FIM 내구 레이스 월드 챔피언십,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 마카오 그랑프리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도 성공적인 기록을 남겼다.[16] 생산 기간 동안 ZX-7R과 ZX-7RR의 레이싱 버전들은 다양한 오토바이 경주 대회에서 꾸준히 경쟁력을 입증했다.
4. 1. 주요 성과
ZX-7 시리즈는 생산 기간 동안 다양한 오토바이 경주 대회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가와사키 공장팀과 개인 팀 모두 ZX-7의 여러 변종 모델을 경주에 사용했다. 특히 ZX-7RR 모델은 AMA 슈퍼바이크 챔피언십에서 총 12번의 우승을 차지하는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이 시기 가와사키 로드 레이싱 팀에는 에릭 보스트롬, 더그 챈들러, 스콧 러셀과 같은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ZX-7 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주요 레이싱 성과를 거두었다.
- FIM 내구 레이스 월드 챔피언십: 가와사키는 1988년 신형 ZXR-7을 투입하며 이 대회에 복귀했고, 이후 ZXR-7 계열 모델로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6년에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했다.[16] 더그 챈들러는 1993년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 AMA 슈퍼바이크 챔피언십: ZX-7RR은 이 대회에서 총 12번 우승했으며, 주요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1990년: 더그 챈들러가 롭 머지(Rob Muzzy) 팀 소속으로 ZX-7을 타고 우승했다.[16]
- * 1992년: 스콧 러셀이 팀 머지가 준비한 ZX-7R로 우승했다.[16]
- * 1996년, 1997년: 더그 챈들러가 팀 머지와 함께 신형 ZX-7RR 레이스 버전으로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 AMA 750 슈퍼스포츠 챔피언십: 스콧 러셀은 팀 머지가 준비한 ZX-7을 타고 1990년, 1991년, 1992년에 3년 연속 우승했다.[17] 특히 1991년에는 9개 라운드에서 모두 우승하는 무패 기록을 세웠다.[18]
- 슈퍼바이크 월드 챔피언십 (WSBK): 1993년, 스콧 러셀은 팀 머지가 준비한 ZXR-750R을 타고 우승하여 가와사키에 첫 WSBK 챔피언십 타이틀을 안겨주었다.[16]
- 마카오 그랑프리: 안드레아스 호프만(Andreas Hofmann)은 1997년 마카오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1996 Kawasaki ZX-7R
https://books.google[...]
1996-03
[2]
웹사이트
Superbikes With Soul: Classic vs. Modern Superbike Comparison Test
http://www.cycleworl[...]
2016-10-29
[3]
간행물
Performance Index Winter '12/'13 Edition
http://www.mcnews.co[...]
Bowtie Magazines
2013-01
[4]
웹사이트
Sportbike Weights and Measurements
http://www.sportride[...]
2016-09-18
[5]
웹사이트
Bike Icon: Kawasaki ZXR750
http://www.visordown[...]
Visor Down
2017-04-19
[6]
웹사이트
Zx-7! {{!}} Cycle World {{!}} APRIL 1989
https://issues.cycle[...]
2024-10-08
[7]
웹사이트
1989 Kawasaki ZX-R 750-H1
https://www.motorcyc[...]
2024-10-08
[8]
문서
https://www.zxforums[...]
[9]
웹사이트
Kawasaki
https://pws.ktivs.ne[...]
2024-10-11
[10]
웹사이트
Model History {{!}} Andys Kawasaki ZXr/ZX7R Tribute Website
https://andys-kawasa[...]
2024-10-08
[11]
웹사이트
1991 Kawasaki ZX-R 750-J
https://www.motorcyc[...]
2024-10-08
[12]
웹사이트
Kawasaki
https://pws.ktivs.ne[...]
2024-10-08
[13]
웹사이트
1993 Kawasaki ZX-R 750-L
https://www.motorcyc[...]
2024-10-08
[14]
웹사이트
How Motorcycle Swingarm Adjustments Impact Traction
https://www.cyclewor[...]
2024-10-08
[15]
AV media
1996 ZX7R & ZX7RR New Model Introduction Kawasaki Ninja VHS Rip
https://www.youtube.[...]
2024-10-08
[16]
웹사이트
Racing History
https://www.global-k[...]
2024-10-08
[17]
웹사이트
SR Archive: 1999 Interview With Rob Muzzy
https://www.cyclewor[...]
2024-10-28
[18]
웹사이트
Remembering motorcycling in the 1990s
https://americanmoto[...]
2020-04-20
[19]
웹인용
1996 Kawasaki ZX-7R
https://books.google[...]
1996-03
[20]
웹인용
Superbikes With Soul: Classic vs. Modern Superbike Comparison Test
http://www.cycleworl[...]
2016-10-29
[21]
인용
Performance Index Winter '12/'13 Edition
http://www.mcnews.co[...]
Bowtie Magazines
2013-01
[22]
웹인용
Sportbike Weights and Measurements
http://www.sportride[...]
2016-09-18
[23]
웹인용
Bike Icon: Kawasaki ZXR750
http://www.visordown[...]
Visor Down
2017-04-19
[24]
웹인용
SR Archive: Kawasaki Zx-7RR Road Test Review
http://www.sportride[...]
Sport Rider
2017-04-19
[25]
인용
Carbon Garage: A motorcycle cafe that's full of racers
http://www.stuff.co.[...]
2015-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